티스토리 뷰
문제 설명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92
지민이는 항구에서 일한다. 그리고 화물을 배에 실어야 한다. 모든 화물은 박스에 안에 넣어져 있다. 항구에는 크레인이 N대 있고, 1분에 박스를 하나씩 배에 실을 수 있다. 모든 크레인은 동시에 움직인다.
각 크레인은 무게 제한이 있다. 이 무게 제한보다 무거운 박스는 크레인으로 움직일 수 없다. 모든 박스를 배로 옮기는데 드는 시간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에는 각 크레인의 무게 제한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셋째 줄에는 박스의 수 M이 주어진다. M은 1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넷째 줄에는 각 박스의 무게가 주어진다. 이 값도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모든 박스를 배로 옮기는데 드는 시간의 최솟값을 출력한다. 만약 모든 박스를 배로 옮길 수 없으면 -1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3
6 8 9
5
2 5 2 4 7
예제 출력 1
2
예제 입력 2
2
19 20
7
14 12 16 19 16 1 5
예제 출력 2
4
예제 입력 3
4
23 32 25 28
10
5 27 10 16 24 20 2 32 18 7
예제 출력 3
3
예제 입력 4
10
11 17 5 2 20 7 5 5 20 7
5
18 18 15 15 17
예제 출력 4
2
문제 요약) 무게 제한을 가진 크레인으로 1분에 박스를 하나씩 배에 실을 수 있을 때, 모든 박스를 배로 옮기는 데 드는 시간의 최솟값을 구해라.
풀이 과정
우선 크레인과 박스 둘 다 내림차순 정렬을 시켜줬습니다.
모든 박스를 배로 옮기는 게 불가능한 경우에는 -1을 출력해야 하는데 그 상황은 무게 제한이 가장 큰 크레인으로도 못 옮기는 즉, 최대 무게 제한보다 무게가 큰 박스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. 그래서 크레인의 최댓값과 박스의 최댓값을 비교해서 박스가 더 큰 경우에는 -1을 출력하고 종료합니다.
위의 경우가 아니라면 하나씩 살펴보면서 박스를 제거해 나가야 합니다. 각 크레인마다 박스의 값을 반복문으로 돌면서 크레인보다 작거나 같은 무게의 박스가 있으면 해당 박스를 제거하고, 바로 break로 반복문을 빠져나옵니다.
현재 크레인보다 값이 큰 박스가 나왔다면 뒤의 박스들을 더 봐야 합니다. 다만 이때 뒤의 박스 무게 중 최솟값보다도 현재 크레인이 작다면? → 어차피 이 크레인으로는 더 못 옮기니까 빠르게 다음 크레인을 확인하는 게 시간 절약을 할 수 있을 겁니다. 이 경우에도 break로 반복문을 빠져나옵니다. << 정확히 이 부분을 생각하지 못 해서 처음에 시간초과가 났습니다.
빠른 입력과 최소 무게도 못 드는 크레임일 때 바로 빠져나오는 코드를 추가해 정답을 맞힐 수 있었습니다.
정답 코드
# 빠른 입력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# 크레인 입력 및 내림차순 정렬
N = int(input().strip())
crain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crains.sort(reverse=True)
# 박스 입력 및 내림차순 정렬
M = int(input().strip())
boxe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boxes.sort(reverse=True)
answer = 0
# 박스의 최댓값이 크레인의 최댓값보다 크다면
# 모든 박스를 배로 옮길 수 없는 것이니까 -1 출력
if crains[0] < boxes[0]:
answer = -1
# 그게 아니라면 확인 들어갑니다~
else:
# 박스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
while boxes:
# 크레인마다
for i in range(len(crains)):
# 박스를 순서대로 확인
for j in range(len(boxes)):
# 크레인으로 옮길 수 있는 박스면
if crains[i] >= boxes[j]:
# 박스 제거 후 반복문을 빠져나와 다음 크레인을 확인
boxes.remove(boxes[j])
break
# 현재 박스 boxes[j]를 현재 크레인 crains[i]으로 못 옮기는데,
# 이 크레인이 최소 무게의 박스도 못 옮기는 거라면 이 크레인은 바로 패스
elif crains[i] < boxes[-1]: # 이 반복문을 추가하는 것이 시간초과를 해결하는 핵심이었음!
break
answer += 1
print(answer)
골드 5였지만 나쁘지 않았던 문제였습니다.
이상입니다.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Lv.2: 프로세스 - Python 풀이 (0) | 2025.04.14 |
---|---|
백준 2812번: 크게 만들기 (G3) - Python 풀이 (0) | 2025.04.11 |
프로그래머스 Lv.3: 베스트앨범 - Python 풀이 (0) | 2025.04.06 |
백준 2467번: 용액 (G5) - Python 풀이 (0) | 2025.04.05 |
백준 2872번: 우리집엔 도서관이 있어 (S1) - Python 풀이 (0) | 2025.04.0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투포인터
- dp
- Programmers
- Python
- 다익스트라
- 프로그래머스
- 코딩테스트
- Deque
- 백준
- Baekjoon
- 구현
- Swift로백준풀기
- 코테
- 큐
- 알고리즘
- 코테준비
- 스택
- 이분탐색
- ios
- MySQL
- 힙
- Dijkstra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Swift
- 자료구조
- 해시
- ios앱개발
- SQL
- 우선순위큐
- 그리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